안녕하십니까. 50대 월급쟁이입니다.
코스피 4000 돌파 이후, 시장이 '어디서 꺾일지'에 대한 현실적인 고민을 해결해 줄 통찰을 담고 있습니다. 이 콘텐츠는 단순히 지수 상승을 쫓기보다, 정책 사이클(밸류업 프로그램, 배당 정책)과 AI 반도체 사이클이라는 두 가지 핵심 동력을 분석하여 향후 시장이 어떻게 움직일지 예측합니다. 지금부터는 지수 상승보다 섹터별 순환매에 집중해야 할 시점임을 강조하며, 정책 수혜주와 반도체 연관주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투자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실질적인 가이드를 제공합니다.
영상을 직접 보실 분들은 아래 유튜브 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1. 핵심 요약
📌 코스피 4000 돌파 이후, 이제부터 시장이 어려워진다는 전망의 근거는 무엇인가?
과거 시장 상승 시 봉의 크기가 작아지며 상승 폭이 줄어드는 특징을 보였고, 현재는 반도체 사이클 외에 추가적인 모멘텀이 부족하여 지수가 위쪽으로 갈 여력에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.
💡 향후 시장 움직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국내 정책 모멘텀은 무엇인가?
- 자사주 소각 관련 정책
- 배당 분리 과세 및 과세율 관련 정책
2. 코스피 신고가 도달 이후 시장의 변화와 특징
- 현재 상황 인식: 코스피가 신고가(4000 포인트 이상)를 기록했으므로, 이제 4200, 4500, 5000 등 지수 자체의 목표치를 쫓는 것은 의미가 없어졌다고 판단됩니다.
- 다음 단계의 고민: 현재 시점은 시장이 얼마나 더 상승할지 추종하기보다, 시장이 주춤거릴 경우 어떤 섹터와 종목들이 움직일지 고민해야 하는 시점입니다.
- 5월과 6월의 시장 흐름 비교:
- 5월까지는 전 세계 시장이 신고가를 냈으나 한국 시장은 부진했습니다.
- 6월에 새로운 대통령 취임 후 상법 개정과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논의가 나오면서 시장이 13.8% 상승했습니다.
- 이 6월 상승은 트럼프 정책 기대와 국내 정책(상법 개정)에 의한 것이었습니다.
- 7월, 8월의 횡보: 6월 이후 7월과 8월에는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모두 횡보하거나 오히려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.
- 9월 이후 반도체 주도 상승: 실제로 시장이 다시 오른 것은 9월부터 반도체가 오르기 시작하면서부터이며, 10월에는 17.4%까지 상승했습니다.
- 일반적인 시장 특징: 시장이 오를수록 상승 폭을 나타내는 봉(캔들)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이 일반적인 특징이며, 이는 상승 폭은 작아지고 종목 장세로 전환됨을 의미합니다.
- 현재 시장의 두 가지 이슈: 현재 시장 상승의 동력은 정책에 의한 사이클링과 AI 반도체 사이클이라는 두 가지 이슈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.
3. 미국 시장과의 비교 및 한국 시장의 상대적 위치 분석
- 언론 보도의 오류 지적: 미국 시장이 연간 15% 오를 때 한국 시장이 60% 올랐다는 식의 비교는 주식 시장을 모르는 사람들이 만드는 타이틀이라고 지적합니다.
- 미국 S&P 500의 최근 3년 성과:
- 미국은 작년(-9%)과 재작년(+18%)을 거쳤습니다.
- S&P 500은 작년 23%, 재작년 24% 상승했으며, 최근 15% 상승을 포함하면 지난 3년간 약 70% 상승했습니다.
- 한국 시장의 최근 3년 성과: 한국 시장은 재작년과 작년에 모두 잃었기 때문에 올해의 상승 폭이 상대적으로 크게 보이는 것입니다.
- 한국 시장 상승의 주된 원인: 한국 시장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오른 것은 경기에 의한 것이 아니라 반도체 때문입니다.
- 투자자의 현재 고민: 이러한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'어디서 꺾일지', '언제 팔아야 할지', '지금 사면 고점에 잡는 것은 아닌지' 등을 걱정하고 있습니다.
4. 정책 사이클의 남은 동력 분석
- 초기 상승 동력: 코스피의 정상화 프로그램(밸류업 프로그램)에 의한 초기 상승은 상법 개정 선언에 의해 이루어졌습니다.
- 남아있는 정책 모멘텀: 현재 남아있는 정책 관련 모멘텀은 두 가지입니다.
- 자사주 소각 관련 정책.
- 배당 분리 과세 및 과세율 관련 정책.
- 시장 기대: 시장은 이 남아있는 정책 모멘텀으로 인해 추가 상승 여력이 있다고 기대하고 있습니다.
5. 반도체 사이클의 현황과 추가 상승 여력 추정
- 반도체 상승 시점: 실제 시장 상승은 9월부터 반도체가 오르면서 시작되었으며, 9월에 약 7.5%, 이번에 17% 상승했습니다.
- 주요 반도체 기업 목표 주가 변화:
- 삼성전자: 초기 8만 원, 9만 원 논의에서 현재 외국계 증권사 최고 목표가는 14만 원입니다.
- SK하이닉스: 초기 48만 원, 58만 원 논의에서 현재 최고 목표가는 64만 원입니다.
- 목표 주가 도달 여부: 현재 주가는 이미 제시되었던 목표 주가에 근접하거나 도달한 상태입니다.
- 삼성전자는 평균 목표가(약 11만 4천 원~11만 5천 원) 대비 약 10% 정도의 여력이 남아있습니다.
- SK하이닉스 역시 평균 목표가(약 58만 원 기준) 대비 약 10% 정도의 여력이 남아있습니다.
- 지수 기여도 추정: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시장 기여도를 약 70%로 가정했을 때, 이들의 남은 여력(약 10%)을 고려하면 지수는 약 5% 정도 더 상승할 여력이 남아있다고 단순 계산할 수 있습니다.
- 이는 약 200포인트 상승 여력(4000에서 4200 포인트)을 의미합니다.
- 반도체 업사이클의 현실화 가능성:
- 핵심 근거: TSMC가 한국에 웨이퍼 90만 장 생산을 요청했으나, 현재 한국의 케파(생산 능력)는 45만 장에 불과하여 두 배 증설이 현실화된다면 주가는 현재보다 훨씬 높아야 합니다.
- 기대와 우려: 이러한 장기 계획(AI 반도체 발전)에 대한 기대감은 분명히 존재하지만, 그것이 내년 이후에 가시화될 것이며, 지금은 눌려 있던 가치를 인정받으며 올라가는 단계로 해석됩니다.
- 단기적 움직임 예측: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새로운 가격대로 가더라도, 지금처럼 수직으로 계속 상승하기보다는 추세적으로 하락하거나 잠시 쉬어가는 구간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.
- 이는 조선주나 원자력주가 강하게 오른 후 쉬어가는 움직임과 유사할 수 있습니다.
- 결론: 지수는 멈춰서 쉬었다가 다시 갈 가능성이 있으며, 이는 AI 데이터 센터 현실화에 대한 기대감이 재확인되는 구간을 거친 후 발생할 수 있습니다.
6. 미국 시장 상황 및 주요 이벤트 분석
- 미국 시장의 최근 움직임: 미국 시장은 지난주 신고가를 경신했으며, 이는 2주간의 등락 끝에 금요일에 상승하며 돌파한 결과입니다.
- 미국 시장 상승의 주요 배경:
- 미중 정상 회담 대기: 전 세계 시장이 가장 예민하게 보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 해결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었습니다.
- FOMC 회의: 이번 주 FOMC 회의에서 25bp 금리 인하가 거의 확정적이며, 12월 추가 인하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습니다.
- 물가 둔화: 지난주 CPI(헤드라인, 근원)가 3.0%로 둔화되었고 주거비도 둔화되어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는 벗어난 상황입니다.
- 양적 긴축(QT) 중단: 연준이 진행하던 QT(채권 만기 미재투자)를 멈춘다는 것은 시장 유동성 측면에서 긍정적입니다.
- 실적 발표 및 엔비디아 GTC: 굵직한 뉴스와 함께 엔비디아 GTC 이벤트에서 긍정적인 발표가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반영되었습니다.
- 미국 시장의 향후 전망:
- 단기 상승 여력: 이번 주 추가 상승 여력은 있으나, 이벤트 반영이 끝나거나 기대에 미치지 못하면 다시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.
- 장기 전망: 미국 지수는 2008년 이후 10배 상승했으며, 현재 금리 인하기 및 유동성 제공 상황, AI 확산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장기 박스권에 들어갈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전망합니다.
- 박스권 지지선: 크게 하락하더라도 추세 전환이 아닌 조정으로 보며, 5,000 포인트, 5,500 포인트, 6,000 포인트 등의 마디(구간)에서 지지를 받을 것으로 예상합니다.
- 박스권 탈출 조건: 7,000 포인트나 내년 9,000 포인트로 가기 위해서는 트럼프의 강력한 유동성 정책이나 AI 반도체(스타게이트)의 확산이 더 많이 이루어져야 하는데, 이에 대해서는 확신이 없다고 언급합니다.
- 보수적 관점: 보수적인 관점에서는 박스권에 머무를 가능성이 높으며, 추세 하락(급락)이 발생하는 것보다 낫다고 평가합니다.
- 내년 상반기 전망: 내년 11월 미국 중간선거(트럼프 관련)와 내년 봄 한국 지방선거 등을 고려할 때, 내년 상반기까지는 박스권 움직임이 예상됩니다.
7. 한국 시장의 추가 상승 여력과 투자 전략 전환 시점
- 한국 시장의 상대적 여력: 미국 시장보다 한국 시장이 지수 자체는 더 올라갈 여력이 있지만, 최근 가파르게 올라왔습니다.
- 개인 투자자의 딜레마: 삼성전자/SK하이닉스에 10% 내외의 추가 상승 여력이 남아있더라도, 개인 투자자가 10% 수익을 위해 지금 진입하기에는 불안감이 큽니다.
- 기관/외국인과의 차이: 기관이나 외국인은 지수를 추종하는 패시브 자금 운영으로 인해 고민 없이 비중에 따라 매수하지만, 개인은 수익률과 손실률을 계산하여 진입을 고민해야 합니다.
- 시장 동력의 전환:
- 6월 상승은 밸류 프로그램이 주도했습니다.
- 이번 상승은 반도체가 주도했으나, 반도체는 제한적입니다.
- 지수 추가 상승 여력 추정: 반도체 외에 자사주 소각, 상법 개정, 배당 관련 정책 모멘텀을 받으면 추가로 약 200포인트(4,200~4,400 포인트) 정도 상승할 수 있습니다.
- 전략 전환의 필요성: 4,200~4,400 포인트 이상으로 갈수록 지수 수익률을 높게 보기는 힘들어지므로, 이제는 정책 수혜주와 반도체 연관주 등 섹터별 순환매에 집중해야 합니다.
- 최근 순환매의 배경: 지난주 원자력, 조선주 등이 오른 것은 APEC(아시아 태평양 경제 협력체) 회의를 계기로 미국 조선 관계자, 원자력, 방산, 로봇 등과의 협력 논의 및 수주 제한, 공급 계약 등이 섹터별로 순차적으로 나올 가능성이 반영된 것입니다.
8. 향후 투자 전략: 두 가지 방향성 제시
- 현실 투자와 방송의 차이: 방송에서 말하는 것과 실전 투자는 다르며, 섣불리 '이제부터 시작'이라고 단정 짓는 것은 위험합니다.
- 전략 1: 정책 사이클 및 AI 사이클 내 종목 보유:
- 정책 수혜주: 조선, 방산(정책적 요인 강함), 자사주 소각 및 배당 관련주(배당 ETF, 우선주 포함)를 주목해야 합니다. 원자력은 반도체와 엮일 것으로 예상됩니다.
- AI 사이클 연관주: HBM 외에 미국 리쇼어링에 연계된 반도체(테일러 등), HBM4 영향력이 있는 반도체, 그리고 이들과 함께 가는 전력 기기, 로봇, ESS 관련 종목들을 포함합니다.
- 보유 전략: 해당 섹터 종목을 보유하고 있다면, 해당 섹터의 모멘텀이 꺾이는 모습이 보일 때까지 수급과 차트를 보며 가져가는 것이 한 가지 방법입니다.
- 전략 2: 섹터별 순환매 대응:
- 만약 현재 주도 섹터에 편입되지 못했다면, 지수가 멈춰서 박스권에 진입할 때 섹터별 순환매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이에 맞는 종목을 찾아 거래해야 합니다.
- 종합 결론:
- 장기 전망: 지금부터 내년 상반기까지 미국은 박스권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습니다.
- 한국 전망: 우리나라는 위로 여력이 더 있지만 한계가 있습니다.
- 지수 상단: 4,200~4,500 포인트 정도까지는 더 갈 수 있으나, 그 위로는 욕심내지 말아야 하며, 이후에는 눈치 보기 장세가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.
- 하락 변동성 대비: 현재 시장은 이미 정책 개정, 자사주 소각, 배당 분리과세 등 모멘텀을 반영했으므로, 내년 하반기(혹은 상반기)에는 시장이 크게 한번 하락 변동성을 겪어야 할 상황에 도달했음을 인지하고 대비해야 합니다.

![[2025년 11월 2일] 코스피 4000 돌파 이후 시장 전망 및 투자 전략 (박병창 이사) [2025년 11월 2일] 코스피 4000 돌파 이후 시장 전망 및 투자 전략 (박병창 이사)](https://blogger.googleusercontent.com/img/b/R29vZ2xl/AVvXsEheaZJK9xs0tTa_68Fl_9CidG3q52RMNFQMU_WSTutUPQJMGFFxJIZT0Z1jCCRZwQV_CF99AjngfTWy8AWlAS6PmSF5M9jk28xqzjICW9RfWQxA9rMH3EhX0-SdrUDRIr06z0nuDoRHib8MS0MKYMMlltkGdHPh4fvAUGHCBFt6W-THD8DBvSkByv1egTrv/w640-h360-rw/%5B%EB%B0%95%EB%B3%91%EC%B0%BD%EC%9D%98%20%ED%88%AC%EC%9E%90%EB%B9%84%EC%B1%85%5D%20%EC%BD%94%EC%8A%A4%ED%94%BC%204000%E2%80%A6%20%EC%9D%B4%EC%A0%9C%EB%B6%80%ED%84%B0%20%EC%96%B4%EB%A0%A4%EC%9B%8C%EC%A7%84%EB%8B%A4%200-5%20screenshot.jpg)




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