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십니까. 50대 월급쟁이입니다.
코스피 4,000 포인트 돌파라는 역사적 순간을 맞이한 시장의 역동성을 분석하는 콘텐츠입니다. 이 영상은 외국인과 기관의 쌍끌이 매수가 주도한 대형주 중심의 장세에서, 디램 가격 급등과 BTS 월드투어 등 핵심 동인을 심층적으로 파헤칩니다. 특히, 조선주와 제약주의 급등 배경과 트럼프 방한 이슈의 실체를 명확히 짚어주며, 모두가 흥분할 때 아직 기회가 남아있는 지점을 포착하는 실용적인 투자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.
영상을 직접 보실 분들은 아래 유튜브 영상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1. 핵심 요약
📌 10월 24일 한국 증시에서 코스피가 4,000 포인트를 돌파한 주요 특징은 무엇이며, 아직 기회가 있다고 보는 이유는?
코스피가 4,000 포인트를 돌파했으며, 대형주 중심의 쌍끌이 장세가 나타났고, 아직 4,200~4,400 포인트를 넘어서야 사람들이 본격적으로 흥분할 것이므로 아직 기회가 있다고 봅니다.
💡 10월 24일 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수가 집중된 업종은 무엇이며, 개인의 매수 집중 영역은 어디였는가?
- 외국인/기관 순매수 집중 업종: 압도적으로 전기전자, 다음으로 제약, 화학
- 개인 매수 집중 영역: 건설 업종, 금속 업종
2. 10월 27일 한국 증시 마감 및 4,000 포인트 돌파 분석
2.1. 방송 시작 및 시장 개요
- 시장 상승세: 한국 시장이 다시 100포인트 상승하는 흐름을 보였습니다.
- 과거와의 비교: 지난 4년간 하루 2% 상승은 상상하기 어려웠으나, 현재는 계속해서 하루 2% 상승하는 폭등 흐름이 지속되고 있습니다.
- 주요 지수 마감 현황:
- 코스피는 전일 대비 101.24포인트(2.57%) 상승하여 4,042.83포인트로 마감했습니다.
- 코스닥은 전일 대비 19.62포인트(2.2%) 상승하여 902.70포인트로 마감했습니다.
- 역사적 기록: 코스피는 역사적인 신고가 경신 행진을 지속하고 있습니다.
2.2. 당일 시장 특징 및 투자 주체별 동향
- 차트 흐름: 금일 코스피 차트는 아침에 크게 상승했다가 밀리고, 다시 올랐다가 한 번 더 밀리는 등 두 번 크게 쉬어가는 흐름을 보여주었습니다.
- 등락 종목 분포: 상승 종목(562개) 대비 하락 종목(322개)이 꽤 많았는데, 이는 상승 폭에 비해 내린 종목이 많았음을 의미합니다.
- 시장 주도 섹터: 현재 시장은 소형주보다는 대형주 중심으로 움직이는 것이 불가피한 흐름이며, 오늘 역시 대형주가 2.7% 상승하여 시장 평균보다 훨씬 높은 상승률을 보였습니다.
- 중형주 상승률: 1.65%
- 소형주 상승률: 0.93%
- 투자 주체별 매매 동향 (거래소 기준):
- 개인: 5,587억 원 순매도
- 외국인: 5,077억 원 순매수
- 기관: 1,080억 원 순매수
- 기관 매매 세부 사항: 기관 중에서는 기타 법인, 자산운용펀드, 보험, 은행, 투신 등은 매도했으나, 금융투자가 집중적으로 매수하고 있으며, 이는 타 자금의 위탁을 받아 매수하는 흐름으로 해석됩니다.
- 쌍끌이 매수 업종: 외국인과 기관의 쌍끌이 매수가 압도적으로 들어온 업종은 전기전자였습니다.
- 전기전자: 외국인 4,400억 원 순매수 (총 5,700억 원 중)
- 전기전자: 기관 780억 원 순매수 (총 1,080억 원 중)
- 금융투자는 5,300억 원 중 2,300억 원을 전기전자에 집중했습니다.
- 기타 쌍끌이 매수 업종: 전기전자 다음으로는 제약과 화학 업종에 쌍끌이 매수가 유입되었습니다.
- 개인 매수 집중 영역: 개인 매수가 집중된 영역은 아침에 좋은 뉴스가 있었던 건설 업종과 이와 연관된 금속 업종이었습니다.
- 건설주 관련 뉴스: 미국의 대형 데이터 센터 수주(현대건설의 11GW 수주 뉴스)가 긍정적으로 작용했으나, 아침 시초가 대비 밀리면서 마감하여 시초가에 매수한 투자자들은 다소 손실을 보았을 것으로 추정됩니다.
3. 주요 업종별 상세 분석 및 상승 배경
3.1. 주요 상승 업종 순위 및 제약주 동향
- 업종별 상승률 순위: 오락문화(4.66%)가 가장 높았고, 다음으로 증권(4% 이상), 제약, 전기전자, 금융, 운송, 부품, 건설, 제조 순으로 상승했습니다.
- 제약 업종 상승 배경 (한미약품 사례):
- 한미약품이 개발한 비만 관련 GLP1 제품 임상 결과가 발표되었습니다.
- 해당 제품은 투약 40주차에 최대 30%의 체중 감량 효과를 보였으며, 이는 GLP1 기반 비만 치료제의 메커니즘을 활용한 것입니다.
- 이상 사례(구토 등) 발생 비율이 적다는 회사 설명과 함께 주가가 상한가 근처(20% 중반 이상)까지 폭등했습니다.
- GLP1은 글루카곤 유사펩타이드 계열의 소재 이야기로 볼 수 있으며, 한국 제약 업체에서 이러한 제품이 나왔다는 것은 긍정적인 일입니다.
3.2. 오락문화 업종 상승 배경 (하이브 사례)
- 오락문화 업종 상승: 오락문화 업종이 가장 많이 상승했으며, 이를 이끈 것은 하이브였습니다.
- BTS 월드투어 복귀 뉴스: 하이브 상승의 주된 이유는 BTS의 복귀 및 월드투어 65회 계획 뉴스 때문입니다.
- 월드투어 65회의 의미:
- 65회는 일주일에 한 번 반 정도의 빈도로 나라를 돌아다녀야 하는 엄청난 규모의 일정입니다.
- 젊은 남자 아이돌이기에 가능한 체력 소모가 큰 일정이며, 공연 시 심박수가 200에 육박할 정도로 격렬한 활동을 수반합니다.
- 여성 아이돌 그룹은 체력적 한계로 이 정도의 횟수를 소화하기 어렵습니다.
- 예상 수익: 2022년 4월 라스베이거스 공연에서 258억 원을 벌었으며, 65회 공연 시 1,000억 원 단위의 수익이 예상됩니다. (참고: 2015년부터 2025년까지 약 3억 달러를 벌었다는 블룸버그 보도가 있었습니다.)
- 하이브 공식 입장: 빅히트 뮤직(하이브) 측은 새 월드투어 일정과 규모 등은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밝혔습니다.
3.3. 시가총액 상위 종목 및 조선주 동향
- 전기전자 업종: 압도적인 자금이 유입되었으며, 삼성전자가 10만 전자를 달성하며 102,000원까지 기록했습니다.
- SK하이닉스: 삼성전자보다 더 큰 폭인 4.9% 상승하여 53만 원을 기록했으며, 국제 자금이 집중되는 모습이 관찰되었습니다.
- SK스퀘어: 하이닉스의 대주주로서 덩달아 상승했습니다.
- 조선 업종 급등: HD현대중공업(5% 상승), HD한국조선해양(5.8% 상승), 한화오션(3.3% 상승), 삼성중공업 등 조선주가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.
- 한화오션 3분기 실적:
- 연결 영업이익: 2,898억 원 (전년 동기 대비 1,032% 증가)
- 단기 순이익: 약 2,700억 원
- 누적 매출: 9조 5천억 원
- 누적 영업이익: 9,201억 원
-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5.8% 증가했습니다.
- 주가 상승의 실제 원인 분석: 실적도 좋았으나, 주가 상승의 주된 이유는 트럼프 방한 시 국내 조선소 방문 가능성 뉴스 때문으로 분석됩니다.
- 특히 삼성중공업 방문 논의가 있었으며, 이는 더이 마스카 프로젝트와 연관된 기대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.
- 트럼프 방한 관련 정정: 조금 전 발표된 뉴스에 따르면, 트럼프 전 대통령은 조선소를 방문하지 않을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.
- 향후 전망: 조선주 관련 뉴스가 악재로 돌변할 수 있어 내일 아침 시가총액 상위 종목인 조선주에 부정적일 수 있다는 전망이 제시되었습니다.
- 한화오션 실적 재평가: 시가총액(42조 원)을 감안했을 때, 연간 영업이익 1조 3천억 원 수준은 폭발적인 실적이라고 보기는 어렵다는 개인적 견해가 제시되었습니다.
3.4. 기타 상승 종목 및 APEC 관련 이슈
- 후성 상승: 한미약품 다음으로 많이 오른 종목 중 하나는 후성입니다.
- 상승 배경: 미국 업체와 6불화인산리튬(LiPF6)(2차전지 전해질) 및 C4F6(반타추형 특수가스) 납품 계약 뉴스 때문입니다.
- APEC 기대감 약화:
- 오늘 장중 상승 요인 중 하나였던 APEC 기대감에 대해, 안보실 3차장은 이번 APEC에서 관세 협상 타결은 어려울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.
-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타결에 가깝다는 입장과는 차이가 있습니다.
- 또한, 백악관이 트럼프 대통령의 일정을 발표할 때 경주가 아닌 부산에서 만난다고 언급된 부분에 대해 일부 오해가 있는 것 같다는 설명이 있었습니다.
- 장 상승 동력 요약:
- 축 1: 반도체에 대한 기대감과 이에 따른 기관/외국인의 강력한 쌍끌이 매수.
- 축 2: APEC에 대한 기대감.
- APEC 기대감 조정 필요성: 장 마감 시점에서 APEC에 대한 기대감을 낮추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이 제시되었습니다.
- 북미 정상회담 가능성: 오전에는 북미 정상회담 확률을 80%로 보았으나, 안보실 3차장의 발언을 고려할 때 가능성이 매우 희박하다고 판단됩니다.
- 3차장은 준비는 가능하지만 만날 가능성은 낮다고 언급했습니다.
- 뉴스 내용 변화: 관련 뉴스들의 내용이 점차 빠지고 있는 상황입니다.
4. 반도체 업황 지속 강세 및 증권주 분석
4.1. 디램 가격 급등 현황
- 반도체 섹터의 건재: 다른 섹터의 기대감이 약화되는 와중에도 반도체 섹터는 살아있습니다.
- DDR5 가격 변동: 지난 주말 디램 익스체인지 발표 가격(DDR5 16기가 기준)은 11.61달러였으나, 현재 가격은 13.23달러로 4.9% 추가 상승했습니다.
- 가격 상승 추이: 이전에는 9달러대에서 시작했던 것으로 기억되며, 현재 가격은 매우 놀라운 수준으로 상승했습니다.
- 시장 상황 해석: 이는 쇼티지(공급 부족) 상황이 제대로 발생했음을 시사합니다.
4.2. 증권 업종 강세 분석
- 증권 업종 강세 이유: 코스피 4,000 포인트 신고가 달성으로 인해 증권 업종이 강세를 보였습니다.
- 수익 구조: 신고가 장세에서는 증권사(하우스)가 돈을 가장 많이 법니다.
- 증권사의 수익원:
- 시장 활성화로 거래량이 증가했습니다.
- 신용 장고가 사상 최고치를 계속 경신하고 있으며, 신용 거래에 따른 이자 수익이 발생합니다.
- 국내 수수료는 저렴해져 재미가 없으므로, 대출을 많이 해주는 증권사가 유리합니다.
- 강세 종목: 대형 증권사들인 미래에셋과 키움증권이 증권사 중에서도 강세를 보였습니다.
5. 마무리 및 향후 시장 전망
- 4,000 포인트 돌파: 한국 시장이 드디어 4,000 포인트를 돌파했습니다.
- 투자 기회: 4,000 포인트 돌파 전에 오라고 했으나, 너무 빨리 올라버렸으므로 아직 기회는 있다고 판단합니다.
- 향후 시장 전망:
- 4,200에서 4,400 포인트를 돌파하면 사람들이 본격적으로 흥분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
- 5,000 포인트를 넘어가면 열광할 것이며, 현장에서 오랫동안 있었던 사람으로서의 전망은 5,000포인트가 넘어서야 본격적인 움직임이 나올 것이라는 것입니다.
- 5,000포인트 이전에 시작하려면 그 전에 준비해야 합니다.
- 미국 시장 및 한국 시장 유의점: 연초 대비 압도적인 수익률을 내고 있음에도 미국 시장이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만, 모두가 한국 시장이라고 할 때는 조심해야 한다고 경고합니다.
- 결론: 각도기 6개월 지수가 끝난다는 전망(90~95% 확실)에 대해 다시 한번 대석해 보며 방송을 마칩니다.

![[2025년10월27일] 외국인 기관 쌍끌이 장세! 그래도 아직 기회는 있다! KOSPI 마감 시황 (곽상준 대표) [2025년10월27일] 외국인 기관 쌍끌이 장세! 그래도 아직 기회는 있다! KOSPI 마감 시황 (곽상준 대표)](https://blogger.googleusercontent.com/img/b/R29vZ2xl/AVvXsEifMjHJhYPlnN4qS10tkQ2FA8oa5ZcKVwWt5ueR59BMCDq2o8ao5O65-1kqNEOHuLRQbejI2gfLC0nkluz_fiHoSi4Eoka1ol9oo4yrlsiwWN36xDuwEDVcPLyZkWXE8EM-Iv_uNBMmWb_H7HbWY3YrVdm0IbF5nziTMiJKiNTLYVrOt_8WhwM1IaLp05oJ/w640-h366-rw/20251027-%EA%B3%BD%EC%83%81%EC%A4%80.png)